네트워크

[네트워크] 네트워크의 개요

안재호 2023. 3. 15. 05:34

네트워크란?

 - 두 대 이상의 컴퓨터들을 연결하고 서로 통신(이야기)할 수 있는 것

 

통신이란?

 - 상호간의 의사소통

   - 1:1, 1:N, N:N

 - 약속된 규칙(프로토콜)으로 의사소통

 

정보통신과 우편통신의 비교

우편번호 : MAC 주소

주소 : IP 주소

송신자 / 수신자 : PORT 번호

 

네트워크의 구성

 - 두 개 이상의 노드와 하나 이상의 노드

 

네트워크의 목적

 - 자원의 공유

 - 정보의 제공 및 검색

 

네트워크 프로토콜

 - 프로토콜 구조

   - Peer to Peer

 - 각 계층 프로토콜의 동작

   - 물리계층 ~ 응용계층

 

네트워크 구성 

 - 네트워크 형태

   - PAN(개인 단위), Home Network(가정 단위), LAN(회사), MAN(도시), WAN(나라), WIFI(무선)

 

네트워크 접속형태 (어떤 환경이냐에 따라)

 - STAR, BUS, TREE, RING, MESH

 

네트워크 전송매체

 - 유선매체

   - 꼬임선(TP)

     - UTP(3케이블, 5케이블, 6케이블) (용량 따라)

     - STP

   - 동축(안테나 선), 광케이블(싱글 모드, 멀티 모드)

 

IP주소란?

 -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이다.

 

네트워크 형태와 인터넷 주소체계

 - IPv4

   - 32bit, A, B, C, D class

 - IPv6 (자동 설정) (보안, 품질 강화)

   - 128bit, 주요 5가지 특징

 

네트워크 전송방법

 - Uni-cast(단일), Multi-cast(사전 등록), Broad-cast(불특정 다수)

 - Simplex(단방향), Duplex(양방향)

 

정보 vs 데이터

정보는 가치 있는 것, 데이터는 무가공의 것

 

통신 프로토콜이란?

 - 통신 규약, 두 시스템간의 통신을 위한 약속

   - ITU(국제 통신 연합), ISO(국제 표준화 기수), IEEE(미국 전기전자 기술자협회), ANSI, ETSI 등

   - ISO에서 OSI 7계층의 표준화

     - Peer-to-Peer communication : 두 시스템의 계층간의 통신

     - Interface : 시스템 내 계층간의 통신

     - bit : 물리 계층에서 전달하는 것

     - Frame : 데이터 링크 계층(노드와 노드 연결)에서 전달하는 것

     - Packet : 네트워크 계층에서 전달하는 것

     - Segment : 전송 계층에서 전달하는 것

 

OSI 7계층

1 ~ 7 계층

 - 물리 계층 : 물리적 회선(유선, 무선)에 관한 약속

   - 데이터를 물리 매체 상으로 전송하는 역할

   - 물리적 링크의 설정, 유지, 해제 담당

   - 종단 장비 간의 물리적, 전기적, 기능적, 절차적 인터페이스 규정

   - 전송선로의 종류에 따른 전송 방식과 인코딩 방식 결정

 - 데이터 링크 계층 : 링크상에서 신뢰성 있게 정보전송을 위한 약속

   - 물리 계층에서 전송하는 비트들에 대한 동기 및 식별 기능

   - 원활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흐름 제어 기능

   -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오류 제어 기능

 - 네트워크 계층 : 번호(주소)를 통한 경로설정, 트래픽 제어

   - 전송 패킷 분해 / 조립

 - 전송 계층 : 종단 간에서의 전달 방법

   - 연결형 전송, 비연결형 전송

 - 세션 계층 : 종단연결에서의 세션(대화채널)에 대한 약속

   - 송수신 프로세스 사이의 세션의 확립 및 유지, 종료 담당

   - 반이중 대화, 전이중 대화의 설정 및 동기화 유지

 - 표현 계층 : 전송데이터의 표현(암호화 형식, 압축 형식 등)에 대한 약속

   - 전송 데이터의 구문과 의미에 대한 처리를 담당

   -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표준 형식으로 데이터 변환

 - 응용 계층 :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약속

   - 응용 프로세스에게 네트워크 접근 수단 제공

 

캡슐화 및 역캡슐화

7 ~ 1계층으로 송신하고 1 ~ 7계층으로 수신

 

계층 간의 통신

SDU에 PCI를 붙여서 PDU를 보냄

 

TCP/IP 구조

네트워크 계층 (물리 ~ 데이터 링크 계층)

인터넷 계층 (네트워크 계층)

전송 계층 (전송 계층)

응용 계층 (세션 ~ 응용 계층)

 

인터넷 장비

 - 중계기 (리피터)

   - 물리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

   - 물리적 회선의 신호를 재생 및 증폭 기능

   - 장거리 통신을 위하여 광 중계기 사용

 - 허브

   -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

   - 여러 대의 PC를 접속

   - 접속 단말의 수가 많으면 속도저하를 가져옴

 - 브리지

   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

   - LAN과 LAN을 연결하고 네트워크 주소가 동일할 때 사용

   - 접속 포트가 주로 10개 이하

- L2 스위치 

   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

   - MAC 주소를 통한 교환기능

   - 충동도메인을 구분

   - 다수의 pc를 접속

 - L3 스위치

   -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

   - 스위치에 라우팅 기능을 추가한 것

   - 스위칭 대상 프로토콜을 IP로 제한

   - 스위칭 이외에 필터링이나 대역 제한 기능

 - L4 / L7 스위치

   - 전송 계층 / 응용 계층까지의 동작을 하는 장비

   - 서버 로드밸런싱 기능

   - 캐시 리다이렉션 기능

   - 방화벽 / VPN 로드밸런싱 기능

   - 패킷필터링 기능

   - 보안 기능

 - 라우터

   - 기능 : 최적 경로 선택, 세그먼트의 분리

 - 게이트웨이

   - 1 ~ 7계층까지에서 동작

   - 서로 다른 성격의 네트워크를 연동시킴

- AP : 무선 인터넷 중계기

   - IEEE 802.11에서 표준화